폴쌤's 만남의 광장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폴쌤's 만남의 광장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6)
    • [공부법] (6)
홈태그방명록
  • [공부법] 6

검색 레이어

폴쌤's 만남의 광장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공부법]

  • [공부법] 자기효능감

    2020.04.21 by 파파폴스

  • [공부법] 성장형 사고방식

    2020.04.20 by 파파폴스

  • [공부법] 학습된 무기력(1)

    2020.04.16 by 파파폴스

  • [공부법] 학습된 무기력(0)

    2020.04.14 by 파파폴스

  • [공부법] 잠과 기억

    2020.03.10 by 파파폴스

  • [공부법]에빙하우스의 망각곡선

    2020.03.09 by 파파폴스

[공부법] 자기효능감

우리는 앞서 학습된 무기력으로 인해 잃었던 나 자신에 대한 기대를 내부적으로 성장형 사고방식을 가짐으로써 회복할 수 있음을 알아보았다. 이 외에 기대를 회복할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이 있다. [공부법] 성장형 사고방식 심리학과 대학생이었던 캐롤 드웩은 셀리그먼의 '학습된 무기력'을 심도 있게 연구하던도중 학습된 무기력으로도 설명되지 못한 부분이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앞서 우리는 계속되는 실패가 기대를 상실시켜 학.. paulssam.tistory.com 특정한 과제를 수행할 수 있다는 자기 능력에 관한 믿음을 자기효능감(self-efficacy)라고 한다. 다시 말해 공부나 프로젝트 등 미래에 요구되는 과제 능력을 판단하는 자기 판단 기준인 것이다. 그동안 여러 연구에서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생일수..

[공부법] 2020. 4. 21. 15:00

[공부법] 성장형 사고방식

심리학과 대학생이었던 캐롤 드웩은 셀리그먼의 '학습된 무기력'을 심도 있게 연구하던도중 학습된 무기력으로도 설명되지 못한 부분이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앞서 우리는 계속되는 실패가 기대를 상실시켜 학습된 무기력에 빠진다는 내용을 살펴봤다. [공부법] 학습된 무기력(0) '학습된 무력감'(Learned helplessness). 1967년. 미국의 심리학자 마틴 셀리히만(Martin Seligman)과 스티브 마이어(Steve Maier)은 24마리의 개를 대상으로 공포의 조건 형성을 연구하던 중, 놀라운 현상을 발견.. paulssam.tistory.com 하지만 드웩은 학생들이 비관적으로 된 이유가 연이은 실패가 아니라, 실패를 해석하는 관점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1975년 드웩은 자기..

[공부법] 2020. 4. 20. 16:30

[공부법] 학습된 무기력(1)

[공부법] 학습된 무기력(0) '학습된 무력감'(Learned helplessness). 1967년. 미국의 심리학자 마틴 셀리히만(Martin Seligman)과 스티브 마이어(Steve Maier)은 24마리의 개를 대상으로 공포의 조건 형성을 연구하던 중, 놀라운 현상을 발견.. paulssam.tistory.com 지난 시간에 학습된 무기력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이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1. 작은 성공 경험 2. 강점 주목 3. 의미와 가치 부여 4. 성장형 사고방식 그렇다면 이 방법이 어떻게 나에게 상실된 '기대'를 회복하게 해주는지 살펴보자. 1. 작은 성공 경험 기대를 잃어버리는 가장 큰 이유는 성공의 경험을 맛보지 못했기 때문이다. 실패가 누적되면 자신의 미..

[공부법] 2020. 4. 16. 15:00

[공부법] 학습된 무기력(0)

'학습된 무력감'(Learned helplessness). 1967년. 미국의 심리학자 마틴 셀리히만(Martin Seligman)과 스티브 마이어(Steve Maier)은 24마리의 개를 대상으로 공포의 조건 형성을 연구하던 중, 놀라운 현상을 발견한다. 그들은 먼저 24마리의 개를 세 집단으로 나누어 상자에 넣고 전기충격을 주었는데, 제1 집단의 개에게는 코로 조작기를 누르면 전기충격을 스스로 멈출 수 있는 환경을 제공했다. 반면 제2 집단은 코로 조작기를 눌러도 전기충격을 피할 수 없고, 몸이 묶여 있어 어떠한 대처도 할 수 없는 환경을 제공했다. 제3집단은 비교 집단으로 상자 안에 있었으나 전기충격을 주지 않았다(대조군). 24시간이 흐른 뒤에는 세 집단 모두를 다른 상자에 옮겨 놓고 전기충격을 ..

[공부법] 2020. 4. 14. 15:00

[공부법] 잠과 기억

깊은잠인 비렘수면, 학습한 정보 재생 렘수면이 선택한 정보 장기기억으로 학습된 정보를 보호하는 것 넘어 학습 과정 자체를 수행할 가능성도 보통 사람은 하루 7~8시간 필요해 특히 처음 4시간 잘 자야 잘 기억 뇌 발달 완성 안 된 유아·청소년은 잠 부족하면 뇌성장 불균형 가능성 오래 일하는 자세를 미덕으로 여기는 한국 사회에서 잠은 그저 인생의 낭비이자 죽음에서 잠시 빌려온 시간일 뿐이다. 나 역시 중학교에 진학하자마자 아버지께서 책상 위에 놓아둔 ‘4시간 수면법’이라는 책이 내 하루 일과 중 희생해야 할 시간을 일찌감치 정해주었다. 그 책에 따르면 프랑스의 나폴레옹은 하루 3시간 수면을 취하면서 유럽을 정복했으며, 에디슨은 4시간만 자면서 연구에 몰두하여 인류를 빛의 세계로 이끌었다고 한다. 30년이 ..

[공부법] 2020. 3. 10. 12:30

[공부법]에빙하우스의 망각곡선

망각 곡선 및 망각 그 자체를 체계적인 방법으로 연구한 최초의 인물은 에빙하우스(Ebbinghaus, 1885)였다. 사람들은 자신에게 망각이 일어난다는 사실을 직관적으로 알기 때문에, 일부러 기억해야 할 정보는 암기한다. 이런 식으로 설명하는 일은 드물겠지만, 우리는 모두 망각 곡선을 가지고 있다. 가장 흥미로운 것은, 에빙하우스는 그의 연구 대상이 자기 자신이었다는 사실이다. 그는 서로 다른 각도에서 이 현상을 연구하고 싶어했다. 스스로를 대상으로 실험함으로써, 그는 우리가 오늘날 알고 있는 것을 망각 곡선(Forgetting Curve)으로 정의할 수 있었다. 우리가 앞서 말했듯이, 에빙하우스는 과학적으로 기억을 연구한 최초의 심리학자였다. 그는 1873년에 본 대학(University of Bon..

[공부법] 2020. 3. 9. 10:01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폴쌤's 만남의 광장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