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된 무력감'(Learned helplessness).
1967년. 미국의 심리학자 마틴 셀리히만(Martin Seligman)과 스티브 마이어(Steve Maier)은 24마리의 개를 대상으로 공포의 조건 형성을 연구하던 중, 놀라운 현상을 발견한다.
그들은 먼저 24마리의 개를 세 집단으로 나누어 상자에 넣고 전기충격을 주었는데, 제1 집단의 개에게는 코로 조작기를 누르면 전기충격을 스스로 멈출 수 있는 환경을 제공했다.
반면 제2 집단은 코로 조작기를 눌러도 전기충격을 피할 수 없고, 몸이 묶여 있어 어떠한 대처도 할 수 없는 환경을 제공했다. 제3집단은 비교 집단으로 상자 안에 있었으나 전기충격을 주지 않았다(대조군).
24시간이 흐른 뒤에는 세 집단 모두를 다른 상자에 옮겨 놓고 전기충격을 주었다.
셀리히만은 세 집단 모두 상자 중앙에 있는 담을 넘으면 전기충격을 피할 수 있도록 장치를 조작했고, 제1 집단과 제3 집단은 중앙의 담을 넘어 전기충격을 피했다.
그러나 제2 집단의 2/3는 전기충격을 피하려 하지 않고 구석에 웅크리고 앉아 전기충격을 받아들이고 있었다.
즉, 제2 집단은 자신이 어떤 일을 해도 상황을 극복할 수 없을 것이라는 '무기력'이 학습된 것이다.
셀리히만의 실험으로 세상에 드러난 '학습된 무력감'(Learned helplessness)은 피할 수 없는 힘든 상황을 반복적으로 겪게 되면, 피할 수 있게 되도 극복하려는 시도조차 없이 자포자기하는 현상을 말한다.
학습된 무력감은 다양한 영역에서 파생 효과를 가져오는데, 대표적인 것이 학습된 무력감과 우울증이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미국의 인지치료자 '아론 벡'의 연구이다.
그는 우울증 환자들이 자신, 세상, 미래에 대해 부정적 관점을 가지고 있어서 어떤 시도를 해도 자신의 상황을 바꿀 수 없다는 ‘학습된 무력감’과 그 증상이 비슷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희망적인 것은 비관이 학습되듯 낙관도 학습된다는 것이다.
셀리그먼은 이를 '학습된 낙관주의(Learned optimism)'라고 불렀다. 연구에 따르면 학습관 낙관주의, 즉 학업 성취에 관한 기대가 높은 학생은 공부를 오랫동안 지속하고 도전적인 학습활동을 선택한다는 것이다. 또한, 낮은 기대를 하는 학생들에 비해 높은 성취를 보인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그렇다면 어떻게 잃어버린 '기대'를 되찾고 미래를 낙관적으로 볼수 있을까?
1. 작은 성공 경험
2. 강점 주목
3. 의미와 가치 부여
4. 성장형 사고방식
이 네 가지를 통해 상실한 기대를 되찾는 방법을 알아보자.
출처 :
교육정책뉴스(http://www.edupolnews.com)
책 <완벽한 공부법>
[공부법] 자기효능감 (0) | 2020.04.21 |
---|---|
[공부법] 성장형 사고방식 (0) | 2020.04.20 |
[공부법] 학습된 무기력(1) (0) | 2020.04.16 |
[공부법] 잠과 기억 (0) | 2020.03.10 |
[공부법]에빙하우스의 망각곡선 (0) | 2020.03.09 |
댓글 영역